[Spring Boot] MVC 웹 전체 과정 구성하기
Example 이라는 도메인으로 생성하는 웹 페이지를 구성해보자.
API 흐름
MVC
우선, API 를 구성하기 전에 MVC(Model-View-Controller) 패턴을 알아가야 한다.
- Model : DB에 구성된 정보를 프레임 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객체로 구성된 부분
- View : 실제 웹에서 보여지는 화면, 유저와 상호작용(요청 받기) 등에 대한 부분
- Controller : Model과 View 사이 처리 등을 관리하는 부분
이렇게 3가지 부분을 나누는 개발 방법론으로, 컨트롤러가 모델과 뷰 사이를 중계하며 각각 영향이 없게 유지 보수 할 수 있는 방식이다.
계층 구조
스프링에서 MVC 는 아래 그림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각각 역할은 다음과 같다.
- Controller : 요청에 대한 흐름과 처리를 관리한다.
- Service : 핵심 로직을 구현
- Repository : DB에 접근하고, 도메인 객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 Domain : 비즈니스 도메인 객체로 DB 테이블인 Model 과 Entity 가 있다.
이 외에 디자인 패턴을 공부 했다면 알겠지만, interface 를 이용해서 느슨하게 결합 하는 등 추가적인 과정이 존재한다. 일반적인 MVC 와 다르게 Repository 같은 것이 추가적으로 있는데 Domain은 DB 에 대한 객체를 의미하고, Repository는 DB에 접근할 때 주로 사용하는 쿼리, 트랜잭션에 대한 부분으로 이해하면 편할 것이다.
전체 과정 구성하기
API 를 구성하는 순서는 domain → repository → service → controller → view 순으로 진행하도록 하겠다. 기능에 따라서 과정의 순서가 바뀔 수 있으니 참고 하자.
Domain
도메인은 DB 테이블 등의 객체를 구현하는 것으로 이전 DB 연동에서도 잠깐 다룬 내용이다. 보통은 아래 코드를 작성하고, 빌드 시 실제 DB가 수정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미 데이터가 있는 테이블의 경우 도메인 수정에 유의해야한다.
package com.example.demo.example.domain;
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java.util.*;
@Entity
@Table(name="Example")
public class Example {
@Id
@Column(name="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Column(name="title", nullable = false, length = 512)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public Example(String title, String content){
this.title = title;
this.content = content;
}
//Getter, Setter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Title() {
return title;
}
public void setTitle(String title) {
this.title = title;
}
public String getContent() {
return content;
}
public void setContent(String content) {
this.content = content;
}
}
코드를 보면 Getter와 Setter를 일일이 작성하였는데, 귀찮다면 Lombok을 이용하는 것이 간편하다. 관련 내용은 다음에 문제점과 함께 정리하겠다. 아무튼 관련 어노테이션으로 다음과 같다.
@Entity : 이 클래스가 엔티티임을 알려주고, 이걸 쓰면 DB에 테이블을 만들어 준다.
@Table : DB 테이블임을 명시한다.
@Id : DB 에서 id 필드로 매핑한다.
@GeneratedValue : PK를 DB에서 자동으로 생성해주고, 옵션을 통해 생성 전략을 정할 수 있다.
@Colume : DB의 컬럼과 매핑한다. 컬럼에 따로 옵션이 없다면 생략해도 된다.
Entity와 Table의 차이?
Entity의 경우 JPA에서 관리되고, Table의 경우 엔티티와 DB를 매핑하는 것으로 실행은 조금 다르다. 두 어노테이션 모두 name을 지정할 수 있는데, Entity의 경우 JPA에서 엔티티를 식별하는 이름으로, Table의 경우 DB의 테이블 이름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Table이 없는 경우 Entity의 name이 실제 DB에 적용되기 때문에 두 어노테이션을 쓰는 경우는 실제 DB와 JPA에서 사용되는 이름이 다른 경우이다.
복합키는 어떻게?
@Id를 이용하는 경우 PK가 설정되지만… 복합키를 사용하고 싶다면 @Id를 설정하지않는다. 복합키를 사용하는 경우에 EmbeddedId 또는 IdClass 라는 방식이 있다.
- EmbeddedId 방식
EmbeddedId를 이용하는 경우, Embeddable 어노테이션을 이용해서 클래스를 지정해야한다.. 예시는 아래와 같다.
이전에 book_id로 관리되던 시스템에서 책에 대한 정보가 너무 많아지자.
type과 code 라는 복합키를 이용하도록 수정하게 되었다.
@Embeddable
public class BookKey implements Serializable {
private String type;
private String code;
}
@Entity
public class Book {
@EmbeddedId
public BookKey bookKey;
}
- IdClass 방식
IdClass를 이용하는 경우, Serializable 를 꼭 받아야 한다.
public class BookKey implements Serializable {
private String type;
private String code;
}
@Entity
@IdClass(BookKey.class)
public class Book {
...
}
두 방식을 비교했을 때 EmbeddedId가 좀더 객체 지향적이고 IdClass는 DB 방식에 가깝다. 데이터베이스 수업을 열심히 들었다면 알겠지만, 복합키를 이용하면 인덱스 등을 이용해서 조회 성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Book을 타입으로 정의하였지만, 카디널리티가 낮은 경우 오히려 성능이 떨어질 수 있으니 설계 시 주의해야한다.
Repository
리포지토리는 실제 데이터 생성, 조회, 수정, 삭제(CRUD)에 대한 로직을 구현한다. 도메인에서 정의한 칼럼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도메인에 모든 칼럼에 대한 Getter와 Setter가 정의되는 것이 좋다. 일단, 다 구현 되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도록하겠다.
@Repository
public interface Example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Example, Long>{
List<Example> findFirst2ByIDDesc();
Optional<Example> findById(Long id);
Optional<Example> findByTitle(String title);
}
생각보다 간단한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메소드의 이름이다. JpaRepository를 상속받으면 저렇게 메소드 이름을 지정 함으로 원하는 쿼리를 실행시킬 수 있다.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이건 실제 개발하면서 공부하자. 주로 조회를 할때에는 find...By
, read…By
, get…By
를 자주 사용한다.
쿼리 커스텀
기초적으로 제공하는 쿼리가 아니라 우리가 지정하는 쿼리를 수행하고 싶을 때가 있는데, 이 경우 @NamedQuery를 이용해서 쿼리를 커스텀 할 수 있다.
@Entity
@NamedQuery(
name="Example.findByCustomTitle",
query="select e from Example e where e.title = :title"
)
JpaRepository 를 상속받지 않는다면…?
커스텀한 리포지토리를 상속하는 경우 EntityManager 등을 주입해서 구현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그만큼 직접 코드를 작성해야하기 때문에 로깅, 디버깅 등에는 좋지만, 관리 포인트가 늘어나기 때문에 주의하자.
여기서 CRUD의 R에 대한 부분이 주로 있고, 나머지 생성, 수정, 삭제에 대한 내용이 없는데, 생성 수정 삭제의 경우 ExampleRepository.save(ex);
ExampleRepository.update(ex);
, ExampleRepository.delete();
로 주로 사용한다. save는 생성, 수정 둘다 적용되는데, 생성되는 것은 해당 엔티티가 없는 경우에 해당되고, 있는 경우에는 수정으로 적용된다.
save 메소드에서 생성, 수정 어떤걸 적용할지 구분하는 이벤트를 MergeEvent 라고 하는데, merge에 따른 오버헤드나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니 무조건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해당 부분이나 쿼리 자체가 기능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우선은 이런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리포지토리에서 쿼리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긴 하지만, Controller 부분에서 PutMapping 등 어노테이션을 통해서 삽입, 수정, 삭제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우선 여기까지 확인하도록 하자.
Service
실질적인 로직이 들어가는 부분으로 리포지토리에서 정의한 쿼리문을 호출하거나 등등이 이루어진다. 말 그대로 구현하는 기능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꼭 아래와 같이 사용할 필요는 없다.
@Service
public class ExampleService {
private final ExampleRepository exampleRepository;
@Autowired
public ExampleService(ExampleRepository exampleRepository) {
this.exampleRepository = exampleRepository;
}
public Long newExample(Example example) {
exampleRepository.save(example);
return example.getId(); // 생성되면 확인을 위해 작성한 내용을 볼 페이지로 이동을 위해 id 반환
}
}
Controller
우선 컨트롤러에서는 클라이언트로 부터 받을 필드를 미리 생각하고 해당 요청을 정의한다. Example 과 관련된 내용을 받으면 이를 저장하는 API 를 구성한다고 생각하자.
public class ExampleForm {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content;
public String getTitle() {
return title;
}
public void setTitle(String title) {
this.title = title;
}
public String getContent() {
return content;
}
public void setContent(String content) {
this.content = content;
}
}
위와 같은 Form을 작성하면 다음과 같이 구현이 가능하다. Form 대신 DTO 나 다른 개념의 객체를 만드는 방식도 있지만, 그건 REST API 구성에서 더 설명하도록 하겠다.
package com.example.demo.example.controller;
import ...
@Controller
public class ExampleController {
private final ExampleService exampleService;
@Autowired
public ExampleController(ExampleService exampleService) {
this.exampleService = exampleService;
}
@GetMapping("/")
public String getIndexView() {
return "index";
}
@GetMapping("/example/new")
public String getNewView() {
return "new";
}
@PostMapping("/example/new")
public String create(ExampleForm form) {
Example example = new Example(form.getTitle(), form.getContent());
Long id = exampleService.newExample(example);
return "redirect:/";
}
}
여기서 return
형식을 html
이나 redirect
로 하면 웹서버로 운영되고, 또는 json 형식으로 보내거나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면 API 로 구성된다. REST API 는 따로 기록하도록 하겠다.
View
view는 말 그대로 화면이기 때문에 주로 html으로 구성된다. 여기서는 생성하는 페이지와 생성된 루트 페이지를 작성하였다. 해당 코드는 resources 하위 templates에 위치한다. build.gradle에 타임리프가 있는지도 확인하자.
//new.html
//Example을 생성하는 페이지
<!DOCTYPE HTML>
<html>
<body>
<div>
<form action="/example/new" method="post">
<div>
<label>제목</label>
<input type="text" name="title" placeholder="제목을 입력하세요">
<label>내용</label>
<input type="text" name="content" placeholder="내용을 입력하세요">
</div>
<button type="submit">등록</button>
</form>
</div>
</body>
</html>
//index.html
//루트 페이지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title>Title</title>
</head>
<body>
<a href="/example/new"> Example 생성하기 </a>
</body>
</html>
결과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Leave a comment